기아타이거즈 경기분석
프로야구 기아타이거즈 경기에 관련 기록
8월 7일 입추(立秋), 8월 23일 처서(處暑)
입추(立秋)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들어 있는 절기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칠월칠석을 전후하므로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이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이므로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야 한다. 조선시대에는 입추가 지나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고 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풍년이라 여기고, 비가 조금 내리면 길하지만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점쳤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 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치기도 했다. 이때부터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고 김장에 대비한다. 처서(處暑)는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는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이나 산소의 풀을 깎아 준다. 과거 부인들과 선비들은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에서 말리는 음건(陰乾)이나 햇볕에서 말리는 폭쇄(曝曬)를 이 무렵에 했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라는 속담처럼 모기의 극성도 사라지고 농부들은 여름에 매만지던 쟁기와 호미를 깨끗이 씻어둔다. 또한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때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는 뜻에서 생긴 말이다. 여름 내 정성 들여 가꾼 오곡이 마지막 결실을 맺는 때로 맑은 바람과 따뜻한 햇볕을 받아 누렇게 익어야 하는데 비가 내리면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않기 때문이다

 

  Comments,     Trackbacks